이 기능은 웍스 급여 상품 신청 후 사용 가능합니다.
급여 메인에서는 급여 및 퇴직금, 직장 가입자 신고 현황, 소득자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급여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설정 사항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급여 메인을 사용하려면 급여 서비스에서 화면 왼쪽 상단의 '급여'를 클릭합니다.
급여 메인 화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역 | 설명 |
---|---|
① 콘텐츠 탭 | 콘텐츠 영역에 표시할 콘텐츠를 선택
|
② 콘텐츠 영역 |
|
- 접근 권한을 부여 받은 메뉴 및 카드만 콘텐츠 탭 또는 영역에 표시됩니다.
- 기록된 로그는 임의로 삭제할 수 없으며, 100건을 초과할 경우 오래된 로그부터 자동 삭제됩니다.
Getting Started
급여 서비스에 처음으로 접속하면 급여 서비스 관련 정보 설정을 안내하는 Getting Started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 상단에 급여 관리자가 설정할 주요 항목에 대한 안내 영역이 표시됩니다. 안내에 따라 설정을 완료해 주십시오. 이 3가지 항목이 모두 완료된 경우 해당 영역은 보이지 않습니다.
- 급여일 추가하기 : 급여월과 차수를 추가하여 첫번째 급여 작업을 준비합니다. 급여일 추가는 급여 작업의 기본 과업으로 회사의 급여 지급일, 급여 시작/종료일을 반영하여 생성합니다.
- 대상자 불러오기 : 만들어진 급여월차수에 급여 계산 및 입력을 할 사원들을 등록합니다. 불러오기를 통해 웍스 인사 > 사원 관리에 등록된 사원들의 최신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며, 특정 사원만 개별적으로 추가도 가능합니다. 대상자로 입력 전 인사 서비스에서 사원들의 주민등록번호를 모두 등록해두시면 원활하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 급여 설정 확인하기 : 급여 환경 설정, 코드 관리, 마스터 관리 등 급여 서비스의 설정에 대한 항목을 확인하고 회사에 맞게 수정합니다.
각 설정 항목은 닫힌 카드 형태로 표시되며, 카드를 한 번 클릭하면 카드가 열려 기본 반영 사항이 표시되고, 한 번 더 클릭하면 해당 메뉴로 이동합니다.
급여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Getting Started 화면의 카드 순서에 따라 모든 항목의 설정을 완료해 주십시오.
영역 | 설명 |
---|---|
① 급여 환경 설정 | 급여 계산을 위한 기본 사항을 설정할 수 있는 급여 설정 메뉴로 이동 |
② 마스터 관리 | 호봉, 연봉, 급여 마스터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마스터 관리 메뉴로 이동 |
③ 통상임금 설정 | 연장근로수당 계산에 사용되는 통상임금을 설정할 수 있는 통상임금 설정 메뉴로 이동 |
④ 코드 관리 | 급여 계산을 위해 지급 코드와 공제 코드를 등록할 수 있는 급여 코드 관리 메뉴로 이동 |
⑤ 계산식 설정 | 각종 급여 계산을 위해 계산식을 설정할 수 있는 계산식 관리 메뉴로 이동 |
⑥ 보고서 설정 | 급여 대장, 급여 이체 파일, 급여 전표 등의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는 보고서 설정 메뉴로 이동 |
⑦ 데이터 이관 | 사용하던 타 서비스의 급여 정보를 이관해 올 수 있는 데이터 불러오기 메뉴로 이동 |
Dashboard
Getting Started 화면의 모든 설정을 완료한 후에는, 급여 서비스에 접속하면 Dashboard 화면이 나타납니다. Dashboard 화면에는 급여 서비스 관련 요약 정보가 카드 형태로 표시됩니다.
Dashboard 화면에 표시되는 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역 | 설명 |
---|---|
① 급여일 오픈 현황 |
|
② 급여 지급 현황 |
|
③ 급여 증명서 발급 요청 |
|
④ 직장가입자 신고 현황 |
|
⑤ 퇴직금 지급 현황 |
|
⑥ 퇴직연금 적립 현황 |
|
⑦ 연말정산 메뉴 오픈 기간 |
|
⑧ 연말 정산 마감 현황 |
|
⑨ 소득자 현황 |
|
Timeline
급여 서비스의 최근 한 달간 사용 로그가 100건까지 최신 순으로 표시됩니다. 각 항목의 링크를 클릭하면 관련 메뉴로 이동합니다.